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만과 닮은 듯한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의 원인, 증상, 진단법,치료방법에 대해

by 힘센감자 2025. 3. 21.
반응형

 

쿠싱 증후군의 정의

쿠싱 증후군은 신체에서 코르티솔(cortisol)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서 발생하는 내분비 질환입니다. 코르티솔은 신장 위쪽에 존재하는 부신이라는 내분비기관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입니다. 부신에서 필요 이상의 많은 코르티솔이 만들어내거나,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외부에서 많은 양의 코르티솔이 체내에 유입될 경우 발생합니다. 코르티솔은 대사 조절, 면역 반응, 스트레스 대응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경우 건강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복부 비만

쿠싱 증후군의 원인

쿠싱 증후군은 내인성(신체 내부 원인)외인성(외부 원인) 으로 나뉩니다.

1. .신체 내부에서 발생(내인성 쿠싱 증후군)

  • 쿠싱병(Cushing’s Disease): 뇌하수체 종양이 생겨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과도하게 분비하여 코르티솔 증가
  • 부신 종양: 부신에서 코르티솔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경우는 부신 종양에 의한 것이며 양성이거나 대부분이 악성 종양이다. 드물게 암의 원인이 되기조 함.
  • 이소성 ACTH 분비 증후군: 폐암, 췌장암 등 암세포가 ACTH를 과도하게 분비하여 부신에서 코르티솔이 증가

2. 외부에서 유발(외인성 쿠싱 증후군)

  • 장기적인 스테로이드 사용: 류머티즘 관절염, 천식 등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오랫동안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복용할 경우

쿠싱 증후군의 초기 증상

  • 체중 증가 & 중심 비만: 얼굴이 둥글어지는 "문페이스(moon face)", 복부 비만
  • 피부 변화: 피부가 얇아지고 멍이 잘 들며, 보라색 튼살(striae)이 나타남
  • 근육 약화: 팔다리가 가늘어지고 근력 저하
  • 고혈압 & 당뇨: 혈압이 높아지고 혈당 조절 장애
  • 골다공증: 뼈가 약해져 쉽게 골절 발생
  • 면역력 저하: 쉽게 감염 됨
  • 정신적 변화: 우울증, 불안, 감정 기복 증가
쿠싱증후군 부위별 증상

쿠싱 증후군의 진단 방법

쿠싱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가 시행됩니다.

  • 소변 24시간 코르티솔 검사: 하루 동안 배출된 코르티솔 수치 측정
  • 야간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밤에 스테로이드를 복용한 후 아침 혈중 코르티솔 수치 측정
  • 혈중 ACTH 검사: ACTH 수치를 측정하여 뇌하수체 원인 여부 확인
  • 부신 CT 또는 MRI: 부신 종양 유무 확인

쿠싱 증후군의 치료법

쿠싱 증후군의 종종 신부전, 당뇨병 및 기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수술 치료

  • 뇌하수체 종양이나 부신 종양이 원인이라면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진행

2. 약물 치료

  • 코르티솔 분비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케토코나졸, 메티라폰 등) 사용

3. 방사선 치료

  • 뇌하수체 종양이 제거되지 않거나 재발한 경우 방사선 치료를 시행, 이후 호르몬  보충 치료도 필요할 경우도 있음.

4. 스테로이드 복용량의 감량

  • 스테로이드 복용이 원인이라면 의사의 지도하에 서서히 용량을 줄여나감, 급작스럽게 약물을 중단하거나 하는 것은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니 적절히 줄여야 함.

쿠싱 증후군의 합병증

  • 고혈압, 고혀당,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감염의 위험성이 커지므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쿠싱 증후군의 관리 및 예방

  • 저염식과 고단백 식단 유지
  • 규칙적인 운동 및 체중 관리
  • 정기적인 건강 검진으로 조기 발견
  • 감염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유지

결론

쿠싱 증후군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완치가 어렵지만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히 치료를 받으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체중 증가, 얼굴 변화, 피부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